메뉴 건너띄기
상단메뉴 바로가기 왼쪽메뉴 바로가기 메인 본문 바로가기

안성상공회의소

공지사항

공지사항 상세보기
제목 2025년 부처협업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 안내
작성자 윤태호 작성일 2025.03.14
조회수 174
첨부파일

 

1. 사업개요

 

 

 

사업목적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과 협업부처 고유 기업지원서비스

   제공 등 패키지 지원을 통해 전략산업·현안해결 분야 스마트화 역량 집중

 

<2025년 부처협업형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

 

연번

협업부처

분야

운영기관

지원대상

지원과제수

신청접수

1

고용노동부

산업안전

한국전자정보통신

산업진흥회

전자·기계부품·

금형업종

15개 내외

‘25.2.14 ~ 3.14

2

보건복지부

의약품

의료기기

한국혁신의약품

컨소시엄

의약품, 의료기기

제조업종

15개 내외

‘25.2.14 ~ 3.14

3

식약처

식품안전

한국식품안전

관리인증원

HACCP 인증획득

식품 제조기업

10개 내외

‘25.2.14 ~ 3.14

4

식품GMP

건강기능식품

제조기업

5개 내외

‘25.2.14 ~ 3.14

5

K-뷰티

대한화장품협회

화장품

제조기업

15개 내외

‘25.2.14 ~ 3.14

6

과기정통부

산업보안

(5G)

중소기업기술

혁신협회

제조기업

15개 내외

‘25.2.14 ~ 3.14

7

방위사업청

방위산업

대한상공회의소

방위산업

제조기업

15개 내외

‘25.2.14 ~ 3.11

8

해양수산부

수산물인증

한국수산회

수산식품 분야

제조기업

15개 내외

‘25.2.14 ~ 4.14

9

농식품부

K-푸드

한국농어촌공사

농산업 수출

제조기업

15개 내외

‘25.2.14 ~ 3.14

10

산자부

K-조선

조선해양

기자재연구원

조선해양기자재

제조기업

9개 내외

‘25.2.14 ~ 3.21

 

 

 

각 분야별 세부공고는 운영기관에서 별도 공고할 예정이므로 운영기관별 

별도 공고문 확인 필요

 

 

지원 과제 및 조건

 

(지원 과제) 150개 내외

 

(지원 조건)

 

 

지원유형

지원기간

지원한도

지원비율

구축목표수준

고도화

최대 9개월

최대 2억원

50% 이내

중간1 이상

목표설정필수

고도화(동일수준)

최대 6개월

최대 0.5억원

구축목표 수준은 KS X 9001-1(스마트공장 기본개념과 구조) 표준 기준

 

 

  * 고도화(동일수준)”은 과거 정부 지원사업으로 구축한 스마트공장 수준과 올해 신규 신청할 스마트공장의 구축 수준이 동일한 경우 신청 가능(수준별 1회 지원 가능)

 

   * 과거 정부 지원사업으로 구축한 스마트공장의 구축 수준이 계획 대비 초과 달성한 경우는 기존과

        동일한 구축 수준으로 올해 신규 신청하더라도 고도화신청이 가능

 

   *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고 스마트공장수준확인사업을 통해 수준확인을 받은

       기업은 올해 신규 신청할 스마트공장의 구축 수준이 과거 자체적으로 구축한 스마트공장의

       구축 수준과 동일하더라도 고도화 신청이 가능

 

각 부처별 기업 지원서비스를 통한 도입기업 지원(붙임2 참고)

 

 

2. 신청자격 및 기간·방법 등

 

 

 

신청 기간방법

 

(신청 시작일) ’25. 2. 14.()

 

     * 각 부처협업형 사업 운영기관별 접수 마감일이 상이하니, 자세한 사항은 운영기관별

       사업공고를 확인하시기 바랍니다.

 

(신청 방법) 온라인(인터넷)을 통한 사업 신청

 

 

신청 방법 : 스마트공장 사업관리 시스템(smart-factory.kr) 접속 회원가입 로그인 사업관리 과제신청 사업계획서 내용입력

 

 

     * 신청 전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smart-factory.kr) 회원가입 필수

(제출서류) 사업 신청 시 아래 서류를 온라인으로 등록

 

구분

제출서류 목록

공통 제출

(도입·공급기업)

- 사업 계획서

- 국세·지방세 완납 증명서 각 1(발행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사업자 등록 증명원 각 1(발행일로부터 3개월 이내)

- 중소기업 지원사업 통합관리시스템 정보활용동의서

도입기업

제출

- 최근 3개년도 재무제표 각 1(’21~’23)

- 종된사업장에 구축시 사업자단위과세 적용 종된사업장 명세제출

- 최근 년도(’23) 수출실적 확인 및 증명서(해당시, 직접수출만 인정)

* 한국무역협회(www.kita.net)에서 발급

- 가점 증빙 서류(해당시, 신청·접수 마감일을 기준으로 유효한 서류)

- 각 운영기관별 사업공고에 명시된 추가 서류

 

     * 관련 양식은 사업관리시스템(smart-factory.kr)알림/참여마당-자료실참고

 

신청 자격

 

(도입기업) 국내 제조기업 중중소기업기본법에 따른 중소기업 및

  「중견기업 성장촉진 및 경쟁력 강화에 관한 특별법에 따른 중견기업

 

   - 사업자번호로 구분되는 도입기업 사업장별로 신청 가능

 

     * 각 분야별 지원대상 확인 후 신청

 

(공급기업) 스마트공장 구축 역량을 보유한 기업 및 협업체로서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의 공급기업 Pool’에 등록된 기업

 

     * (공급기업 Pool 등록 방법)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smart-factory.kr) 알림/참여마당

     - 공지사항에서 공급기업 Pool 등록 안내(1077번 게시글)” 참조

 

(지원 제외 사항) 아래 사항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원 대상에서 제외

 

 

< 부적격 사항 >

 

 

 

  ·폐업중인 기업 국세 및 지방세 체납 중인 기업

  유흥·향락업, 숙박·음식점 불건전 오락용품 제조업

  개별 사업공고에서 신청제한또는 지원제외사항 등에 해당하는 경우

 

 

   - 스마트공장 구축지원사업을 이미 수행 중인 기업(붙임1 참조)

 

   원제외 사유가 확인된 경우 선정평가·협약 체결 등의 절차와 관계없이 평가 제외 및 협약해약 처리

 

3. 추진 및 평가 절차

 

 

 

평가, 선정, 협약 등 절차는 사정에 따라 변경될 수 있음

 

 

평가 절차

 

(서면 평가) 사업계획서를 기반으로 스마트공장 구축 필요성, 지원

  적정성 및 도입·공급기업 역량 등 평가

 

     * 신청 과제수에 따라 서면평가 생략 가능, 스마트공장 수준확인사업을 통해 수준확인 받은 기업서면 평가 면제

 

(기술성 평가) 사업계획서 및 발표 내용을 기반으로 스마트공장 구축목표·방식, 달성가능성 및 기업역량 등 대면 평가

 

(현장 확인 및 원가계산) 사업계획서와 현장의 일치여부, 신청 가점 등의

   확인 및 사업비 계상의 적정성 검토를 통한 사업비 조정

 

   - 신축 예정 공장의 경우, 일부 예외 인정* , 공장설립(계획)승인서 및 신축공장 추진계획 검토를 통해 기간 내 구축 가능 여부 확인

 

     * (예외 인정항목) 제조공장의 정상가동 여부, 보유설비 정상가동 여부

 

(최종 선정) 선정평가 결과를 종합하여 최종 지원 과제 확정

 

   단계별 평가 일정, 결과 등은 운영기관에서 안내 예정

 

추진 절차

 

사업공고

신청접수

요건검토

서면평가

중소벤처기업부

도입·공급기업

운영기관

운영기관

 

 

 

 

 

 

업착수(착수계제출)

중간점검(협약후3개월내)

최종선정 및 협약체결

현장확인 및 원가계산

기술성평가(대면)

운영기관, 도입·공급기업

중소벤처기업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운영기관, 도입·공급기업

운영기관,

원가계산기관

운영기관

 

 

 

 

 

 

최종점검(구축완료후)

(수준측정 실시)

최종평가

(성공/실패/보완 판정)

집중A/S(6개월)

(최종평가 보완)

최종재평가

(성공/실패 판정)

전문감리기관

운영기관

(DX멘토단)

도입·공급기업

운영기관

(DX멘토단)

 

 

* 최종평가결과 보완인 경우 집중A/S‘ 재평가진행

 

 

4. 유의사항

 

 

 

세부관리지침 및 세부관리기준 등 관련 규정을 준수하여 신청 및 사업수행

 

 

신청·접수 관련

 

(컨소시엄 구성) 도입기업과 공급기업 간 컨소시엄을 구성하고,

   함께 완성된 업계획서를 작성하여 기한 내 온라인 접수

 

   - 다만, 솔루션 개발 인력 및 역량을 보유한 도입기업은 공급기업

     없이 단독 신청도 가능(필요시 사업종료 후 별도 정밀 정산절차 진행)

 

(구축 목표 설정) 기존 구축한 스마트공장 수준보다 높은 목표를

   설정하되, 수준 향상이 없는 경우 동일 수준유형으로 신청

 

   (이전 스마트공장 구축 수준 확인방법)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사업안내 

        도입기업 지원현황에서 조회 (‘20년 이후 구축수준 중 높은 수준을 적용)

 

    동일수준예외 사항

  

 

과거 정부 지원사업으로 구축한 스마트공장의 구축 수준이 계획 대비 초과 달성 경우는 기존과 동일한 구축 수준으로 올해 신규 신청하더라도 고도화신청 가능

 

   * (예시, 초과달성) 기초목표로 수행후 중간1’ 달성, 중간1’목표로 수행 후 중간2’ 달성

 

자체적으로 스마트공장을 구축하고 스마트공장수준확인사업을 통해 수준확인을 받은 기업은 올해 신규 신청할 스마트공장의 구축 수준이 과거 자체적으로 구축한 스마트공장의 구축 수준과 동일하더라도 고도화 신청이 가능

 

 

(보안대책 수립) 구축 솔루션 및 설비의 안정성 보장, 기업데이터

   유출을 방지하기 위한 보안솔루션 구축연동 등 보안 대책수립 필수

 

사업비 편성 관련

 

(필수 비용) 회계 정산 수수료, 교육비 및 기술임치비용을

   사업비의 기타 비용에 필수 포함

 

    회계 정산 수수료 : 지정 회계법인의 사업비 상시 모니터링 및

      정산을 위한 수수료 필수 편성

<회계정산 표준수수료 현황>

 

총사업비 규모

표준수수료(공급가액 기준, 천원)

비고

50백만원 이하

455

부가세 제외

200백만원 이하

637

400백만원 이하

910

400백만원 초과

1,182

 

     * 정산대상 사업비(총사업비) : 정부출연금 + 민간부담금

 

   교육비 : 스마트공장 기술교육(사업관리교육 및 기술교육) 수강 비용(1백만원) 필수 편성

 

   기술임치비 : 스마트공장 구축 결과물의 기술임치비(45만원) 필수 편성

 

 

< 기술임치제도 >

 

 

 

(임치제도) 사업 결과물의 핵심 정보를 보관하여 개발 결과, 보유 사실을 입증하기 위한 제도

 

(임치효과) 기술임치 시 개발 및 보유사실 시점의 입증과 기술탈취방지, 유지보수 등에 임치내용을 활용가능

 

(의무사항) 관리지침 및 세부관리기준에 따라 도입기업은 과제 완료시, 구축 결과물 일체를 2년 이상 기술임치하고, 기술임치계약서와 기술임치증 필수 제출

 

     (임치기관) 대중소농어업협력재단 기술자료 임치센터(02-368-8484, escrow@win-win.or.kr)

 

(현물편성)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료(현금·현물 모두가능)와 도입기

   인건비를 합하여 기업부담금 중 20%* 내에서 현물로 편성 가능

 

     * 동일수준 최대 1천만원, 고도화 4천만원 이내에서 편성

 

   - 클라우드 서비스 이용료는 사용 시작일로부터 최대 3년의 비용*

     편성 가능하며, 협약 기간 내에 클라우드 사용을 시작하여야 함

 

     * 소기업은 최대 5년 이내 편성가능하며, 소기업 규모 기준은 [참고] 확인

 

   - 스마트공장 구축 및 시스템 안정화 등을 위한 도입기업 인건비 편성 가능

 

     * 인건비 지급 증빙자료(입금확인증 등) 및 수행일지 등 정산 시 확인 예정

 

교육 이수

 

스마트공장 지원사업에 선정된 도입·공급기업은 스마트공장 교육 이수하고 중간 점검 또는 완료 보고 시 수료증을 필수 제출

 

   - (교육기관) 중소벤처기업진흥공단 연수 사업처

 

<스마트공장 교육 현황>

 

구분

세부 내용

사업관리교육

(온라인)

- 대상 : 도입·공급기업(대표자 및 임원, 실무자)[4]

- 내용 : 사업지침, 부실·부정구축방지교육, 우수사례, 사업비 사용법 등

* 협약 후 중간점검 전까지 수료 후, 중간보고서 제출시 수료증 첨부

- 비용 : 온라인교육 무료수강(https://ssup.kosmes.or.kr)

기술교육

(오프라인)

- 대상 : 도입기업(대표자 및 임원, 실무자)[2]

- 내용 : CEO·임원 대상 리더십 과정과 재직자 대상 교육과정을 모두 의무 수료하고, 완료보고서 제출 시 수료증 첨부

- 집합교육으로 비용 발생(사업계획서에 교육비 100만원 계상)

 

 

   * 교육 상세내용 및 일정은 협약 체결 후 추진기관운영기관에서 별도 안내 예정

 

기타 사항

 

동 사업을 통해 구축한 솔루션의 로그기록을 스마트공장 사업관

   시스템에 연동하여 구축완료 후 3년간 제출 필요

 

     , 시스템을 통한 로그기록 제출이 불가한 경우 연 2(6·12) 수기 등록

 

자격·유형·지역 등의 분류에 맞게 신청하여야 하며, 오기재·누락·허위기재 등의 사항 발견 시 평가·선정 대상에서 제외될 수 있으며, 협약 후에도 협약해약 및 제재 조치 등 가능

 

온라인 신청·접수 시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에 입력한 담당자의

   연락처 오류 여부 필수 확인

 

 

 

5. 추진근거 및 추진체계

 

 

 

근거 법령 및 관련 규정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촉진에 관한 법률 및 동법 시행령, 시행규칙

 

중소기업 스마트제조혁신 지원사업 운영 등에 관한 고시(2023-80, ’23.8.7)

 

스마트공장 보급·확산사업 세부 관리지침 및 세부 관리기준

 

   * 동 공고문에서 정하지 아니한 세부 내용은 근거 법령 및 관련 규정을 적용함

사업 추진체계

 

 

 

총괄기관

 

 

협업부처

(운영기관)

 

 

 

중소벤처기업부

 

 

 

 

 

 

 

 

 

 

 

 

 

 

 

 

 

 

 

 

 

 

 

 

 

 

 

 

 

 

 

DX 멘토단

 

 

 

 

 

 

 

 

전담기관

 

전문감리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원가계산기관

 

 

 

 

 

 

 

 

 

 

 

 

 

 

 

 

 

 

 

 

 

 

 

운영기관

 

 

 

 

 

각 부처별 선정 운영기관

 

 

 

 

 

 

 

 

 

 

 

 

 

 

 

 

 

 

 

 

 

 

 

 

 

 

 

 

 

 

 

참여기업

 

 

 

 

도입·공급기업 컨소시엄

 

 

 

 

 

담당 기관

 

구분

주체

역할

총괄기관

중소벤처기업부

- 사업총괄 및 기본계획 수립

추진기관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 사업 추진계획 수립, 사업 세부관리지침 등 관리

- 운영기관에서 운영하는 사업에 대한 관리 및 평가 등

운영기관

각 부처별 선정 운영기관

- 과제 신청 및 접수, 선정평가 운영, 과제 관리 등

참여기업

도입·공급기업 컨소시엄

또는 도입기업

- 스마트공장 구축

 

 

 

6. 문의기관

 

 

 

담당기관

문의사항

전화

사업총괄

중소벤처기업부

(제조혁신과)

공고관련 문의

044-204-7264

추진기관

중소기업기술정보진흥원

(부설 스마트제조혁신추진단)

044-300-0954

운영기관

한국전자정보통신산업진흥회

(산업안전)

 

과제 신청, 접수, 선정평가, 운영, 과제관리

 

 

과제 신청, 접수, 선정평가, 운영, 과제관리

02-6388-6184

한국혁신의약품컨소시엄

(의약품, 의료기기)

02-6247-0914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식품안전)

043-928-0153

한국식품안전관리인증원

(식품GMP)

043-928-0142

대한화장품협회

(K-뷰티)

02-785-7985

중소기업기술혁신협회

(산업보안(5G))

031-628-9683, 9669

대한상공회의소

(방위산업)

02-6050-3855

한국수산회

(수산물인증)

02-898-0565

한국농어촌공사

(K-푸드)

061-338-5744

조선해양기자재연구원

(K-조선)

051-400-5131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문의사항은 사업관리시스템 전체메뉴(우상단) - 마이페이지 고객센터 SR요청으로 문의

 

관련 웹사이트

 

- 스마트공장 사업관리시스템: http://smart-factory.kr

 

 

 

 

이전글, 다음글
2025년 공동안전관리자 지원사업 안내
2025년 부처협업형 스마트공장 구축 지원 사업 안내
2025년 골라쓰는 대체공급망 구축 지원사업 안내

안성상공회의소

(우)17595 경기도 안성시 미양로 847(도기동), 안성상공회의소

Copyright (c) 2017 anseongcci, All Right Reserved.